1) 미국
미국은 카드 결제를 선호하는 문화가 깊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신용카드가 가장 보편적인 결제수단으로 Visa, Mastercard, American Express와 같은 카드들이 주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지갑 서비스인 Apple Pay, Google Pay, PayPal, Venmo 등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특히, Apple Pay는 스마트폰을 통한 비접촉 결제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큰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속도와 편리함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예를 들어, Starbucks는 모바일 선불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여 자사 앱에서 음료를 미리 결제하고, 매장에서 바로 픽업할 수 있어 바쁜 일정을 가진 사람들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충전식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여 고객들이 앱을 통해 포인트나 리워드를 쌓고, 결제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 경험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Amazon의 'One Click' 결제 시스템은 사전에 저장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한 번의 클릭으로 결제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해, 간편하고 빠른 결제를 선호하는 미국 소비자의 성향을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Amazon Pay는 외부 상점에서도 Amazon 계정을 이용해 자유롭게 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다른 쇼핑몰에서도 간편한 결제 경험을 제공합니다.
Venmo와 PayPal은 소셜 결제와 P2P(Peer-to-Peer) 송금을 강조하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으로, 친구 간 송금 등을 처리할 수 있게 해주어 미국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Venmo는 거래 내역을 친구들과 공유하며 댓글 기능을 제공해 소셜 경험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장려합니다.
2) 유럽
유럽의 결제 방식은 국가별로 큰 차이가 나타납니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에서는 카드를 대신해 현금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아 일부 소매점에서는 카드 결제를 받지 않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화는 현금 결제에 대한 높은 신뢰도와 카드 사용에 대한 불신이 존재하는 문화적 특성 때문입니다.
반면,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에서는 카드 결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영국은 컨택트리스(비접촉식) 결제가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Visa와 Mastercard는 이를 위한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왔으며, 많은 소비자가 이를 통해 결제를 빠르게 처리합니다. 영국 내 Tesco와 같은 대형 슈퍼마켓에서는 컨택트리스 결제 방식이 일상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와 네덜란드 역시 카드 결제의 사용 비율이 높으며, 비접촉식 결제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Française des Jeux(프랑스의 국가 복권사)는 복권 구매 시, 사용자가 앱에 등록한 카드를 결제 단말기에 대기만 하면 결제가 완료되는 비접촉 결제를 지원합니다.
네덜란드는 iDEAL이라는 온라인 결제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신의 은행 계좌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출금하여 결제가 되는 방식으로, 다른 온라인 결제 시스템보다 은행 기반 결제를 선호하는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3) 인도
인도는 여전히 현금 결제 문화가 자리 잡고 있지만, 최근 디지털 결제의 급성장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앱을 통해 계좌 간 즉시 송금과 결제가 가능한 UPI(Unified Payments Interface)와 같은 정부 주도의 결제 시스템 덕분에 모바일 결제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UPI를 통해 사용자는 개인 QR코드를 스캔하거나 UPI ID, 휴대폰 번호, 또는 고유 가상 결제 주소(VPA)를 입력해 계좌 이체, 온라인 쇼핑 결제, 공과금 납부 등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UPI를 기반으로 다양한 핀테크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Paytm은 인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지갑 플랫폼으로, 모바일 결제와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 물품 구매, 공과금 납부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PhonePe는 소액 결제, 송금, 선불폰 요금 충전, 보험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QR 코드 결제는 인도의 결제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는 Paytm, PhonePe와 같은 모바일 결제 앱을 통해 상점에서 제공하는 QR 코드를 스캔하거나, 자신의 QR 코드를 제시하여 결제를 완료합니다. OR 코드 결제는 특히 소규모 상점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모바일 결제를 선호하는 소비자에게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인도의 결제 방식은 모바일 결제를 기반으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QR 코드 결제와 같은 기술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4) 한국
한국은 모바일 결제 및 카드 결제가 매우 활발하며,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발전이 두드러집니다. 특히 온·오프라인에서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가 대중화되었고, 소비자가 다양한 결제 수단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삼성페이는 NFC(근거리 무선 통신)와 마그네틱 보안 전송(MST) 기술을 결합하여, 기존 카드 단말기와 호환되는 결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pple Pay나 Google Pay와 달리 기존 카드 리더기에서스마트폰으로 즉시 결제가 가능해 카드 결제와 모바일 결제의 장점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는 금융사와 유통사를 중심으로 자체 결제 서비스 출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자체 플랫폼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하고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려는 전략의 일환입니다.
예를 들어 ‘E페이’는 이랜드 그룹이 자사의 쇼핑몰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제 시스템으로, 자체적으로 포인트 적립과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신세계의 SSG PAY, GS리테일의 GS Pay, 롯데의 엘페이 등 많은 기업이 통합 결제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용자 결제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자체 결제 서비스는 고객 충성도 강화와 결제 수수료 절감, 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을 목표로 하며, 점차 디지털 결제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올해 토스에서 안면인식을 활용한 ‘얼굴결제’를 선보이는 등 각국의 결제 방식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변화할 것입니다. 결제 시스템의 발전은 소비자들에게 더 편리하고 안전한 경험을 제공하며, 글로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리포트를 통해 다양한 국가들의 서로 다른 결제 문화를 살펴보았듯이, 미래 결제 트렌드도 각국의 특성과 요구에 맞춰 계속해서 진화할 것입니다.
참고자료)
-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결제문화 다르다"... 한국카드, 중국 페이, 미국 모바일 지갑
https://www.g-enews.com/article/Finance/2023/10/202310161537076607f0fb06a6aa_1
- (넥스트유니콘) 전세계 결제 트렌드 제대로 알기
https://www.nextunicorn.kr/insight/9a8f3cbac42714e4
- (뉴시스) 올해 '결제 산업 트렌드' 6가지는
https://www.newsis.com/view/NISX20240202_0002615286
|